소식지
* 2021년 4월 소식지 *
날짜 : 2021.04.30 작성자 : 전희자   |   조회 : 607
21년 4월 소식지.hwp
사랑터 회원 여러분 안녕하셨습니까 ?
2021년 4월이 되었습니다. 산과 들에 푸르름이 더해 가고 있습니다. 4월은 5일 식목일 겸 한식이 있는 달로 예전에는 공공기관이나 군인, 학교에서는 단체로 산에 나무를 심는 행사를 가졌습니다. 우리나라가 푸르른 산을 갖게 된 산림녹화의 역사를
돌이켜 보면 일제 말기부터 시작된 전쟁물자 조달, 해방 후의 인구증가, 6.25전쟁 그리고 전후복구를 위한 자재수요의 증가, 여기에 국가의 산림관리 기능 실종까지 가세하여 산림자원이 더욱 황폐화의 길을 걸었습니다. 특히 1940년대와 1950년대에는 임산연료 이외에는 대체연료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막대한 양의 나무를 소비했던 우리나라 특유의 온돌문화는 민둥산을 만들어내는 주범이 되었습니다.
산림 남벌은 마을 주변의 산으로부터 시작, 점차 확대되어 대부분의 산은 민둥머리 붉은 산으로 변했습니다. 그 결과 마을 주민들은 나무를 하기 위하여 더 먼 산으로 가야 했고, 심지어 나무가 없어 나무뿌리와 들풀, 산 풀까지 베어다 땠습니다. 땔감을 마련하는 시간은 자꾸만 늘어났고 멀리 떨어진 벽지의 산마저도 고갈되었습니다. 마침내 울창했던 우리나라 산림은 오지의 국유림을 제외하고 전 국토에 걸쳐 완전히 황폐화되었습니다.
산에 나무가 줄어든 결과, 여러 부작용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조금만 비가와도 홍수가 되어 토사가 밀렸고, 하천바닥은 논보다 높아졌습니다. 큰 비만 오면 제방이 터지고 전답이 매몰되었습니다. 조금만 가물어도 하천에는 물이 흐르지 않고 가뭄피해가 확대되었고, 약한 바람에도 황토먼지가 뿌옇게 날렸습니다. 산속에는 새와 짐승들이 점점 사라지는 등 생태계 파괴로 인한 대가를 톡톡히 치렀습니다. 당시의 참상은 국토의 사막화를 우려하기에 충분했습니다.
해방 직후 산림파괴로 인한 국토 황폐화의 부작용을 직시한 지도층들은 산림녹화의 필요성을 절감했습니다. 당시의 산림정책은 사방사업이 역점사항이었습니다. 산지가 황폐되어 거의 해마다 홍수피해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사방사업 10개년 계획(1948 ~ 1957)’을 수립하여 황폐임야에 대한 복구를 시도하였는데 6.25전쟁으로 그 실적은 계획 대비 5%에도 이르지 못했습니다.
1951년 「산림보호 임시조치법」을 제정하여 응급사방에 힘쓰고 나무 없는 산지에 아카시아, 오리나무, 리기다소나무 등 속성수를 조림하였지만 재원부족에다 기술부족까지 더하여 계획이 제대로 집행되지 못했습니다.
봄철 식목일 이외에도 가을철에 ‘육림(育林)의 날’을 휴일로 정하여 매년 마을주민은 물론 군인 · 학생 등을 동원하여 산지의 소유자가 누구이든 나무를 심고 가꾸는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러나 산림녹화 추진 초기 20여 년 동안은 산지의 토양이 너무 황폐해서 나무가 뿌리를 내리지 못했고 그나마 살아남은 나무도 장마 때 토양침식 등으로 떠내려가고 말았습니다. 대체연료가 없는 농촌 주민들은 식목일에 심은 나무까지 베어다 때지 않으면 안 될 정도로 절박한 상황이었습니다.
산림녹화 성공 1970년대에서 1990년대에 이르는 30여 년 동안에 적극적인 사방공사와 녹화사업을 실행하여, 사막화지대와 같이 황폐되었던 산지를 푸른 숲으로 변화시켰습니다.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경제 성장, 경제적 시장 구조 형성, 농업생산성 향상, 연료에너지 대체와 지속적 에너지 공급 증대로 인한 경제성장의 주요한 요인이 되었습니다. 특히 전국적으로 무연탄이 공급되고 꾸준한 에너지 대체 정책이 추진되면서, 이것이 국가 경제 발전과 함께 산림녹화에 긍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작용하였습니다. 또한 중화학 공업의 급속한 발달로 임산물 대용재의 개발 · 생산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임산물 소비절약 등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었습니다.
경제개발 추진과정에서 산림황폐에 의한 한발 · 홍수 등이 빈발함에 따라 식량감산과 도로침수 · 유실 등에 의한 산업생산의 피해가 심각함을 인식하게 되었는데, 이처럼 산업발전 배후자원으로서 산림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경제개발계획의 일환으로서 산림녹화사업을 추진한 것도 중요한 성공요인이었습니다.
인적 자원 개발과 시민의식 성장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특히 근면 · 자조 · 협동을 원리로 하는 새마을운동과 치산녹화사업을 연계시킴으로써 마을 주변의 산림을 주민 스스로 협동하여 조림 · 보호하는 체계가 구축되었으며, 공동체 단위의 산림계 활동도 활성화 되었습니다. 마을권 단위의 조림식수가 주민 개개인의 소득과 연계되도록 속성 유실수 위주의 조림을 우선 권장하는 정책도 주효했습니다.
이렇듯 새마을 운동을 ‘잘 살아 보자’는 국민 공동체 의식을 고취한 것과 산림녹화에 대한 강력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한 것이 큰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또한 시민의식 성장 · 국내외 NGO 활동의 증가는 국민에게 산림의 가치를 보다 더 잘 알리고 산림 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만들었습니다.
인구의 도시집중으로 인하여 농촌지역 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대부분 농촌지역에 분포된 산림에 대한 인간의 간섭이 적어진 점, 그리고 산지지형이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고, 생물다양성이 풍부했던 점 등도 산림녹화에 긍정적 영향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제는 지구 온난화에 따라 기온이 올라가므로 식목일을 4월 5일에서 3월로 옮겨야 한다고 임업 연구관들이 말합니다. 겨울잠을 자다
활동을 시작하려는 이른 봄철에 나무를 심어야 잘 사는데 4월이 되면 벌써 생육을 시작한지 오래되어 식목을 하는데 지장이 있다는 설명입니다. 녹화된 산림은 사람들이 생활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목제 등 자원의 제공뿐 아니라 풍수해 예방, 맑은 공기를 제공함으로 국민건강을 증진시키고 푸르른 산의 아름다운 경치는 인간 삶을 풍요롭게 해줍니다. 맑은 공기와 푸른 산의 정기는 바이러스에 지쳐가는 우리들에게 새로운 힘을 줄 것입니다. 푸른 산을 보시면서 코로나 바이러스를 건강하게 이겨내시기 바랍니다.
이 명 우 올림 (구글에서 모셔온 자료에 각색을 했습니다.)
이전글 * 2021년 3월 소식지 *
다음글 * 2021년 5월 소식지 *